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한인 등 아시안 총기 구입 급증

총기를 소유한 아시아계 주민이 증가하고 있다.   증오범죄, 총기난사 사건 등이 잇따라 발생하자 방어 목적을 위한 총기 구매 사례가 늘고 있다.   LA타임스(LAT)는 웨스트LA의 평범한 40대 한인 여성이 최근 잇단 사건에 위협을 느끼고 남편과 호신용 총기를 사는 것을 논의하고 유튜브로 총기 사용법을 익히는 등 아시아계 주민에게 있어 총을 소유한다는 것이 안전함을 느끼는 방법이 되고 있다고 30일 보도했다.관계기사 2면   총기 폭력 방지 단체인 길포드법률센터 알렉스 응우옌 리서치 매니저는 “아시아계는 원래 타인종보다 총기 소지 비율이 낮은 편이지만 팬데믹 기간 총기 소유가 폭발적으로 증가했다”고 말했다.   아시아계의 총기 구매 증가는 통계로도 입증된다.   전국스포츠사격재단(NSSF)이 최근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2021년 아시아계의 총기 구매는 전년 대비 27.1% 증가했다. 물론 백인(60.5%), 흑인(44.8%), 히스패닉(36.9%) 등도 모두 늘었지만, 아시아계의 총기 구매가 30% 가까이 늘어난 것은 이례적이라는 분석이다.   아시아계의 총기 구매는 가주 지역의 각종 범죄 증가와 맞물린다.     가주총기소유자협회 샘 파드레스 디렉터는 “특히 가주 지역 아시아계의 총기 소유 비율이 증가하고 있는 게 특징”이라며 “이는 단순히 자신을 방어하기 위한 목적을 넘어 증오범죄 등으로부터 가정과 사업체를 지키기 위한 대응 수단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 아시아계의 총기 구매 비율은 최근 들어 증가 추세를 보인다. 글렌데일 지역 G 총포상 관계자는 “과격 시위, 미행 강도, 업소들을 노리는 떼강도, 증오범죄 등이 발생할 때마다 총을 사러 오는 아시안이 정말 많아졌다”며 “최근 몬터레이 파크 총기 사건이 발생하자 총기 구매에 대한 문의 전화도 많이 받았다”고 말했다.   LA동부 지역에서 리커스토어를 운영하는 로널드 배씨는 “팬데믹 이후 강도 사건, 증오범죄 등이 늘다 보니 총기를 구매한 한인 업주들도 많아졌다”며 “그만큼 업주들도 요즘 세상 돌아가는 모습을 보면서 자신의 생명은 스스로 지켜야 한다는 생각이 점점 확고해지는 것 같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 LA타임스는 “일부 아시아계 남성들은 군대 생활을 해봤기 때문에 총에 대해 잘 알고 있다”며 “일례로 1992년 LA 폭동 때 옥상에서 총을 들고 한인타운을 지키는 한인 업주들의 사진을 봐도 알 수 있다”고 보도했다.   총기 소유는 헌법상 권리를 바탕으로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수단이 되지만 총기 단체들의 공격적인 마케팅도 아시아계의 총기 구매를 부추긴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총기폭력방지정책센터 조시 슈가맨 디렉터는 “팬데믹 기간 아시아계 증오범죄가 증가하자 총기 업계는 이를 총기 판매의 기회로 여겼다”며 “팬데믹 기간 총기 광고, 총기 잡지 표지 등을 보면 아시아계 등 비백인 그룹에 대한 마케팅을 강화했음을 알 수 있다”고 말했다.   반면, 총기 사건 등이 발생할 때마다 총기 클럽에 대한 관심은 덩달아 높아지고 있다.   지난 2020년 LA프로그레시브슈터를 설립한 톰 응우엔 대표는 “현재 600명 정도 학생이 있는데 그중 25%가 아시아계로 기본 사격술, 방어 목적의 총기 사용 등을 배우고 있다”며 “이는 가주가 각종 범죄 증가로 통제 불능 상태가 되고 있다는 우려가 높아진 데다 특히 총기 사건이 발생하면 학생들의 문의가 많아진다”고 말했다.   한편, 전국즉석범죄전과조회시스템(NICBCS) 통계에 따르면 가주에서는 지난 한해 총 총기 구매를 위한 신원조회 신청이 총 143만1993건이었다. 가주에서는 해마다 총기 규제를 강화하고 있지만 10년 전(2012년·113만2603건)과 비교하면 신원조회 신청은 오히려 26% 증가했다. 장열 기자ㆍ[email protected]아시아계 지역 증오범죄 총기 아시아계 증가 지역 아시아계

2023-01-30

한인 5명 중 3명 "증오범죄 피해 우려"

가주 지역 아시아계를 대상으로 실시한 최근 조사에서 한인 5명 중 3명(63%)은 팬데믹으로 인한 증오범죄 피해를 우려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카네기국제평화재단(CEIP)은 15일 ‘가주에서 아시아계 미국인이 된다는 것은 어떤 의미인가’라는 내용의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증오범죄에 대한 피해 우려(매우·종종·가끔 포함)는 중국계(79%)가 가장 높았다. 이어 필리핀계(71%), 베트남계(68%), 일본계(60%), 인도계(53%) 등의 순이다.   지난 1년 사이 인종과 관련해 입은 피해 형태(중복 응답 가능)는 언어폭력(43%)이 가장 많았다. 이어 ‘아시아계라는 이유로 불편하게 행동하는 것(38%)’ ‘아시아계를 깔보는 행위(32%)’ ‘너희들의 나라로 돌아가라는 욕설(26%)’ 등의 응답이 뒤를 이었다.   가주 지역 아시아계 주민들은 대체로 민족적 정체성을 강조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도 특징이다.   자신을 어떻게 지칭하는 것을 선호하는가에 대한 질문에는 절반 이상(51%)의 응답자가 ‘출신 민족+아메리칸’이라고 답했다. 예를 들어 한인의 경우 ‘코리안-아메리칸’으로 규정하는 것을 선호하는 셈이다. 이어 ‘출신 민족’(29%), ‘아시안 아메리칸’(10%) 등의 순이었다.   가주내 아시안 아메리칸 커뮤니티와 얼마나 밀접하냐는 질문에는 응답자의 47%가 ‘약간 밀접하다’가 답했다. 이어 ‘별로 밀접하지 않다(28%)’ ‘매우 밀접하다(22%)’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가주 지역 아시아계 주민들의 네트워크는 ‘아시안’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CEIP가 친구 관계에 관해 물은 결과 응답자의 49%가 ‘일부 친구 또는 약간의 친구만 아시아계’라고 답했다. 이는 ‘대부분의 친구가 아시아계’라고 답한 응답자(37%)보다 많았다.   아시아계 주민들 사이에서는 ‘아시아계 미국인(Asian American)’과 ‘아시안-태평양계 미국인(Asian Americans and Pacific Islander·AAPI)이라는 용어 사용에도 미묘한 차이가 존재했다.   가주 지역 한인을 비롯한 아시아계 주민 5명 중 3명(62%)은 아시아계 미국인이라는 용어가 매우 편하게 느껴진다고 응답했다. 반면, AAPI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매우 편하다고 답한 비율은 41%였다.     CEIP 밀란 베이쉬나브 디렉터는 “괌, 하와이, 사모아 등 태평양 제도 주민까지 포괄하는 AAPI가 아시아계를 보다 포괄적으로 규정하지만 가주에서는 실제 아시아계 미국인이라는 용어가 더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며 “아시아계 주민들은 보다 널리 사용되는 용어를 선호하고 편해 한다”고 전했다.   한인 응답자의 경우 67%가 자신을 아시아계 미국인으로 식별하는 것이 매우 편하게 느껴진다고 답했다. 반면, AAPI 용어 사용이 매우 편하다고 답한 한인 응답자는 34%에 불과했다. 장열 기자중국 증오범죄 아시아계 주민들 지역 아시아계 한인 응답자

2022-12-16

가주 한인 소득 아시아계서도 하위권

가주 지역 한인의 중위 가구 소득(median household income)은 7만 달러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가주 내 아시아계 중위 소득(10만1253달러)에도 못 미치며, 민족별 순위에서도 하위권에 속했다.   AAPI데이터가 24일 발표한 ‘가주 지역 아시아계의 의료·정신건강·사회복지서비스 보고서’에 따르면 가주 지역 한인 가구의 중위 소득은 7만6880달러다.     이는 방글라데시계(7만8983달러), 베트남계(7만8325달러), 태국계(7만8037달러)와 비슷한 수준이다.   중위 가구 소득은 인도계가 15만8527달러로 가장 높았다. 이어 대만계(11만8726달러), 말레이시아계(10만8600달러), 스리랑카계(10만7389달러), 필리핀계(10만5978달러), 중국계(9만8603달러) 등의 순이다.   한인보다 중위 가구 소득이 낮은 민족은 라오스계(6만6733달러), 몽족(6만6346달러), 몽골계(6만4289달러), 캄보디아계(6만4066달러), 부탄계(3만7372달러) 뿐이다. 세부적으로 나눠보면 가주 지역 아시아계 20개 민족 중 한인들의 중위 가구 소득은 15위에 해당한다.   가주 한인은 10명 중 1명꼴로 빈곤층이다.     한인의 빈곤율은 12.7%로 나타났다. 몽골계(23.6%), 몽족(23.1%)의 빈곤율이 대체로 높았고, 인도계(5.3%), 필리핀계(6.1%), 일본계(7.3%)가 낮은 편에 속했다.   한인의 주택 소유 비율(46%)도 렌트(56%) 비율보다 낮았다. 아시아계 중 민족별 순위로 보면 한인의 자가보유율은 12위로 하위권에 속했다.   자가보유율은 대만계(75%)가 가장 높았다. 이어 일본계(70%), 중국계(68%), 필리핀계·베트남계(각각 60%), 태국계(59%) 등의 순이다.     한인의 경우 4명 중 1명(25.6%)이 연방 빈곤 수준(FPL)의 200% 미만이었다. 이중 3.5%만이 캘프레시(Cal Fresh·구 푸드스탬프) 수혜 혜택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자격을 갖춘 한인 시니어(65세 이상·96%)중 대부분은 메디케어에 가입한 상태였다. 이는 몽족(99%), 방글라데시계(97%), 라오스계(96%), 베트남계(95%), 캄보디아계(95%)와 함께 가입 비율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이번 보고서는 AAPI데이터가 UCLA보건정책연구소, 가주보건국, 가주건강설문조사(CHIS), 센서스국 지역 사회 조사(ACS) 5년치 추정 통계 등을 바탕으로 분석했다.   ☞중위 가구 소득이란   모든 가구를 소득에 따라 순위를 매겼을 때 중간에 해당하는 소득을 의미한다. 전체 가구 소득의 합계를 전체 가구수로 나눈 평균 가구 소득과 의미가 다르다. 장열 기자아시아계 하위권 한인 소득 아시아계 중위 지역 아시아계

2022-06-24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